저번 포스팅에서 다루지 못한 계선 설비와 하역설비에 대해서 다루고 선박의 설비는 끝을 내겠습니다. 

 

계선 설비란 선박이 부두에 접안하거나 묘박 혹은 부표에 계류하기 위한 설비로 닻, 묘쇄, 로프 등을 말한다. 정박 설비의 기준은 선박 설비 규정에 따라 의장수로 결정되며 의장수는 

 

의장수 = L x (B+D)+C이며 L은 선체길이, B는 선폭, D는 깊이, C는 상부 구조물의 크기에 따른 상수입니다.

 

계선 설비 중 앵커의 종류와 명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앵커는 구조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인 스톡 앵커란 스톡을 가진 앵커로서, 투묘할 때 파주력은 크지만 격납이 불편하여 범선 및 소형선에 사용될 뿐, 대형선에서는 중묘 또는 소묘로 사용됩니다.

스톡리스 앵커는 스톡이 없는 앵커로서, 스톡 앵커에 비해 파주력은 떨어지지만 닻 작업시에 취급과 격납이 간단하고, 앵커 체인과 엉키지 않으며, 얕은 수심에서 앵커 압이 선저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대형선에 사용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특수형 앵커가 있습니다.

 

앵커는 또 용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선수 양현애 비차하는 대형의 앵커를 선수묘라 합니다. 에비묘는 선수묘의 예비묘로서 선수묘와 같거나 약간 작습니다. 중묘는 선수묘의 1/3~1/5 중량이며, 좌초시 선체 고정 또는 특수 조선에 사용됩니다. 소묘는 선수묘의 1/6~1/10의 중량이며, 선미 동요를 방지하거나 좌초시 선체 고정에 사용됩니다. 단정묘는 단정의 계류에 사용되며, 그래프널 앵커는 4개의 암을 가진 소형 닻으로 해저에 떨어진 닷줄, 로프 등을 건지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계선 설비 중 앵커 체인 또는 묘쇄

앵커 체인의 구성으로는 앵커 체인 1절에 연결용 섀클 - 단말 링크 - 확대 링크 - 보통 링크로 구성되며, 1 섀클의 길이는 25미터입니다. 스터드가 없는 단말 링크는 규격이 최고 크며, stud가 있는 확대 링크는 링크의 강도를 15% 증가시켜주며, 여기에 절수를 표시합니다. 앵커체인의 절수 표시는 조이닝 섀클 전후의 셋째 stud link 전체에 백색 페인트를 칠하고 stud에 seizing wire를 감아서 절수를 표시합니다. 닻과 앵커 체인은 부식과 마모가 심하여 평균 지름의 10% 이상 마멸되면 체인을 교환해야 합니다. 닻의 움직이는 부분은 때때로 그리스를 주입하면, 입거시에는 전체적이 손상 및 마모를 확인하고 섀클 표시를 다시 합니다.

 

양묘기란 앵커를 감아올리거나 투묘 작업 및 선박을 부두에 접안 시킬 때 계선줄을 감는 데 사용되는 갑판 보기를 말합니다. 양모기 중 체인 드럼은 앵커 체친이 홈에 꼭 끼도록 구조가 되어 있어서 드럼의 회전에 따라 체인을 신출하거나 감아 들입니다. 클러치는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부품이며, 마찰 브레이크는 회전축에 동력이 차단외었을 때 회전축의 회전을 억제합니다. 위핑 드럼은 회전축에 연결되어 계선줄을 워핑 드럼을 통하지 않고 직접 조정합니다.

 

그 밖에 계선줄을 부두에 내보내기 위해 미리 꼬리 부분을 붙들어 매어 줄잡이에게 내주는 줄인 하빙 라인과 선체가 외부에 접촉하게 될 때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팬더, 계선줄을 붙들어 매기 위한 기둥으로 기둥이 1개 있는 것을 비트라 하며, 2개 있는 것을 볼라드라고 합니다. 접안 후 쥐의 침입을 막기 위해 계선줄에 설치하는 쥐막이, 계선줄이 쉽게 선외로 빠져 나가도록 롤러들로 구성되어 있는 페어 리더, 불워크에 설치되어 계선줄이 선외로 빠져 나가는 구멍인 계선공, 가장 많은 일손이 필요한 계선 작업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하기 위해 설치하는 갑판기기로, 개선줄의 강력을 고르게 유지시키도록 제작된 자동 계선 윈치, 동력에 의해 계선줄이나 앵커 체인을 감아올리기 위한 갑판 기기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갭스턴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하역설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하역 설비는 크게 선창 설비, 갑판상 하역 설비, 항만의 하역 설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선창설비 - 해치 또는 해치 웨이, 선창 내에 화물을 출입시킥 위한 갑판 개구입니다. 일반 화물선의 해치의 폭은 선폭의 약 40%이며 컨테이너선은 약 85%입니다. 해치 커버에는 Wooden hatcg cover, Steel hatch cover가 있으며 Steel hatch cover에는 원목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강도가 높은 Pontoon형, 해치 전후부에 해치 카버를 격납할 여지가 없을 때 주료 사용하는 Cormarain식 hatch cover, 소형의 hatch에 많이 사용되며, hinge로 연결한 2매의 hatch cover로 구성되어 있는 mege식 Steel hatch cover. 현재 가장 많이 채용되고 있으며 비교적 대형 해치에 많이 사용되는 Mac Gregor식 hatch cover등이 있습니다.

 

갑판상 하역 설비

하역 설비란 선창에 실려진 화물을 양화하거나 부두에 있는 화물을 선차 내에 적재할 때에 화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하는 갑판 기기입니다. 대력식 하역 장치는 선박의 하역 설비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데릭 포스트, 데릭 붐, 윈치, 및 로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데릭은 하나의 붐으로 하역하는 방식과 두 개의 붐으로 하역하는 방식이 있으며, 윈치는 역할에 따라 데릭 붐을 올리거나 내리는 토핑 윈치, 붐을 회전시키는 슬루잉 윈치 및 화물을 달아 올리거나 내리는 카고 윈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하역 설비 크레인식 하역 장치 - 크레인은 데릭식 하역 설비에 비해 하역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할 뿐만 아니라 하역 준비 및 격납이 쉬워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그 종류는 크게 위치가 고정된 집 크레인과 선수미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역하는 갠트리 크레인으로 나뉩니다.

 

기타 하역 설비에는 하역용 펌프가 있는데 원유를 비롯한 액체 화물의 하역은 펌프에 의해 이루어지며, 보통 적화는 육상 펌프를, 양화는 선박의 펌프를 사용합니다. 원심 펌프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하역 용량을 크게 해서 초대형 유조선도 24 시간 내에 하역을 마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다음으로 특수 하역 설비는 컨테이너 운반선의 하역을 하는 육상의 크레인을 이용할 수 없는 항구에서 컨테이너 하역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 크레인을 장비하고, 여기에 스프레더를 부착시켜 하역하는 선박도 있습니다. 셀프 언로다는 이 방식의 하역 설비는 석탄, 광석과 같은 건화물의 하역에 이용되며 선창을 깔대기 모양으로 하여 아랫부분에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각 선창의 화물을 선수 부근의 한 구역으로 이동시켜 여기에서 집중적으로 선외로 하역합니다. 시멘트 전용선의 하역 설비도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항만의 하역 설비 중 화물의 보관 설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치장은 화물을 쌓아두는 항만의 한 구역으로서 특별한 설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창고는 장기간의 화물 저장 및 보관을 목적으로 견고한 구조와 설비를 갖추고 있는 건물이며, 상옥은 선적할 화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장소로서 부두 바로 옆에 건설되며 많은 출입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부선은 닻 정박 또는 부표 계류 중에 하역할 때 사용되며, 육상 하역 기계에는 크레인과 컨베이어가 있습니다.

 

 

 

+ Recent posts